(홍콩 시위, 홍콩 국가보안법 총정리) 4. 2019년 범죄인 인도법(송환법) 반대 시위
2019년 6월 9일, 100만 명의 홍콩 시민들이 또 다시 거리로 쏟아져 나옵니다. 일주일만에 2배인 200만 명으로 불어나면서, 홍콩 반환 이후 최대 규모의 시위가 이어집니다. 무엇이 이들을 또 다시 거리로 뛰쳐 나오게 만든 것일까요. '범죄인 인도법', 일명 '송환법' 반대 시위. 2003년 '국가보안법 반대 시위', 2014년 '우산혁명', 그리고 2019년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까지. 이전 포스팅에서도 항상 말씀드렸습니다만, 이들은 모두 '모양'만 다를 뿐, 중국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유를 외치는 '민주화 운동'이라는 점에서 그 맥락은 같습니다.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는 그럼 왜 발생하게 된 것이며, 홍콩 시민들이 이를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한 것이며, 이것이 '민주화 운동'과는 어떤 연..
더보기
말의 호소력을 높이려면 '5가지 강조법(높임, 낮춤, 느림, 늘임, 포즈)'을 버려라
스피치 강의이나 화술 강의를 보면 흔히 '5가지 강조법'을 소개합니다.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소개를 드리겠습니다. 1. 높임 강조 '높임 강조'는 말 그대로 특정 단어를 강하게 말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나폴레옹, 차이코프스키, 도스토예프스키, 노벨, 그리고 빈센트 반 고흐는 뇌전증을 앓았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라고 말한다고 해볼까요? 이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뭘까요? '뇌전증'이겠죠? 그럼 '뇌전증'이라는 단어만 특히 강하게 말하는 것이 '높임 강조'입니다. 2. 낮춤 강조 '낮춤 강조'도 말 그대로 특정 단어의 톤을 낮춰서, 즉 약하게 말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우리 회사 매출이 절반이나 줄었습니다." 라고 말한다고 해봅시다. 이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뭘까요? 확실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