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전 보이스 트레이닝> 전자책 출간! *****
[보이스 트레이닝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변화 ] <실전 보이스 트레이닝> 전자책 출간!
[보이스 트레이닝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변화 ] <실전 보이스 트레이닝> 전자책 출간!
안녕하세요 윤피치입니다. 오늘은 좋은 소식으로 인사 드리려고 합니다. 그동안 목소리, 보이스와 관련한 다양한 포스팅을 올렸는데요. 이를 바탕으로 저만의 노하우를 잔뜩 담은 <실전 보이스
royalroadspeech.tistory.com
2,000만 원 이상의 스피치, 발성 훈련을 한 권으로 녹여냈습니다!
좋은 목소리의 원리는 결국 하나입니다.
2년 이상 하루도 빠짐 없이 직접 제 몸에 실험하고 연구했습니다.
제가 가장 크게 효과를 봤던 핵심만 담았습니다.
여러분의 목소리에 정말 큰 변화가 있길 바랍니다!
앞서 '공명'이 무엇인지와 어떤 원리로 발생하는지
그리고 왜 목구멍과 입 공간을 크게 열여줘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구체적인 연습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1. 목구멍(인두강) 열기
흔히 '연구개 올리기', '후두 내리기', '목의 아치 열기' 등등의 이름으로 불리는데,
결론은 어차피 같으므로 저는 '목구멍 열기'라고 부르겠습니다.
의도적으로 목구멍을 열려고 하면,
도대체 어디서부터 어떻게 열어야 하는지 감이 안 잡힐 겁니다.
그런데,
우리의 목구멍이 자연스럽게 활짝 열리는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하품할 때와 (조금 더럽지만)토할 때입니다.
이전에도 좋은 목소리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하품에 대해 말씀드린 적이 있죠.
하품할 때의 목과 입의 구조가 발성에 최적화된 상태라고 했었죠.
그 이유가 바로 하품할 때 이 인두강이 활짝 열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정말 단순하게 생각한다면
여러분들이 하품할 때 공기가 들어갔다가 나오기 시작하는 그 상태를 기억하면 되지만
오늘은 도대체 하품할 때 목에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를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입을 벌린 상태로 모든 힘을 빼고 위 그림과 같이 목젖 주위를 손으로 잡아봅시다.
자, 그 상태에서 하품을 시작해보세요.
뭔가가 아래로 내려가는 게 느껴지시나요?
이 부분을 '후두'라고 하는데,
그래서 다른 말로 '후두 내리기'라고 부르는 것이죠.
다시, 입을 벌린 상태로 모든 힘을 빼고 여러분의 입 안을 거울을 통해 보세요.
그러면 혀 뿌리와 연구개 끝이 닿아있는 게 보일 겁니다.
그래서 목구멍 안 공간이 전혀 보이지 않죠.
자, 이제 그 상태에서 하품을 시작해볼까요?
입 안 모양이 어떻게 바뀌었나요?
네, 연구개가 위로 올라가면서 목구멍이 아치 모양으로 바뀌시는 게 보이시나요?
그림으로 보면 이렇게 모양이 바뀌시는 게 보이시죠?
그래서 '연구개 올리기', '목의 아치 열기'와 같은 이름으로도 부르는 것이죠.
자, 이제 하품을 할 때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감이 오셨나요?
목젖 부위(후두)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연구개는 올라가 목구멍이 활짝 열리게 되죠.
그 상태가 바로 목구멍(인두강)이 열린 상태입니다.
2. 입 안 공간(구강) 열기
목구멍(인두강)과는 달리 입 안 공간은 복잡할 게 전혀 없습니다.
말 그대로 정말 입 안 공간을 충분히 가져가면 되는 것이니까요.
그리고 입 안 공간은 목구멍과는 다르게 항상 열려는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입 안 공간을 더 '크게' 확보해서 의도적으로 '공명'을 주는 것이죠.
그래서 우리는 '허밍' 방법을 사용합니다.
우리가 신날 때 '흠~흠흠~~' 하며 입을 열지 않고 노래를 부르는 것이 바로 '허밍'인데요.
입 안에 큰 알사탕 하나를 올려놓고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럼 턱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입 안 공간이 넓어지겠죠?
이 상태에서
'흠~~~'
하고 허밍을 해봅시다.
최대한 입 안 공간을 울리겠다, 입 주변 전체를 울리겠다는 생각으로
계속 허밍을 해봅시다.
그리소 양손으로 볼 전체를 감싸보세요.
떨림이 느껴지시나요?
그 떨림이 '구강 공명'입니다.
흔히 '마스크 공명'이라고 부르죠.
자, 이제 인두강과 구강을 모두 활짝 열어주게 됐습니다.
그럼 이 상태로 발성을 해야겠죠?
발성은 앞서 복식호흡에서 연습했던 방법을 그대로 쓰면 됩니다.
2초 동안 공기를 들이마십니다.
공기를 내뱉지 않고 4초를 유지합니다.
'흠~~' 하고 1초 허밍을 하다가
나머지는 '아~~'하고 발성을 합니다.
그러면 '(허밍)흠~~(발성)마~~~' 와 같이 되겠죠.
이렇게 4초 내뱉습니다.
다시,
이제는 4초 동안 공기를 들이마십니다.
공기를 내뱉지 않고 8초를 유지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8초 허밍 발성을 합니다.
다시,
이제는 6초 동안 공기를 들이마십니다.
공기를 내뱉지 않고 12초를 유지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12초 허밍 발성을 합니다.
다시,
이제는 8초 동안 공기를 들이마십니다.
공기를 내뱉지 않고 16초를 유지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16초 허밍 발성을 합니다.
앞서 복식호흡 때 했던 발성과는 차이가 좀 있죠?
네, 이제는 목구멍과 입 안 공간을 크게 연 상태에서 발성을 해야 합니다.
목구멍은 위에 설명드린 방법대로 열어주면 되는 것인데,
입 안 공간을 열어주는 것은 충분히 열어주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발성을 하기 전 '허밍'으로 시작하게 되면
'허밍'에서 발생하는 '구강 공명'이 그대로 발성에 이어질 수 있습니다.
Q. 그럼 일상 생활에서도 이렇게 후두를 내리고 연구개를 올린 채로 이야기를 하는 건가요?
A. 네 그렇습니다.
처음에는 아마 익숙하지 않아서 이상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충분한 연습과 훈련을 하게 된다면
그 상태가 여러분의 가장 자연스러운 목소리로 자리 잡게 될 겁니다!
자, 이제 이렇게 공명 연습 방법까지 끝났는데요.
복식호흡부터 공명 발성까지
하루에 10~20분만 정도라도
꼭 '매!일!' 해줘야 한다는 점 잊지 말아주세요!
다음에는 목소리의 힘을 키우는 법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ㅎㅎ
'스피치 & 프레젠테이션 > 보이스 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훈련] 짧은 시간 안에 발음 좋아지는 법 (0) | 2020.04.09 |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훈련] 목소리 힘 키우는 방법 (2) | 2020.04.07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훈련] 울림 있는 동굴 목소리 내기 - 공명 (0) | 2020.04.05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훈련] 복식호흡 실전 연습, 복식호흡으로 말하기 (2) | 2020.04.04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훈련] 깊게 많이 마시는 호흡, 복식호흡! (0) | 2020.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