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전 보이스 트레이닝> 전자책 출간! *****
[보이스 트레이닝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변화 ] <실전 보이스 트레이닝> 전자책 출간!
[보이스 트레이닝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변화 ] <실전 보이스 트레이닝> 전자책 출간!
안녕하세요 윤피치입니다. 오늘은 좋은 소식으로 인사 드리려고 합니다. 그동안 목소리, 보이스와 관련한 다양한 포스팅을 올렸는데요. 이를 바탕으로 저만의 노하우를 잔뜩 담은 <실전 보이스
royalroadspeech.tistory.com
2,000만 원 이상의 스피치, 발성 훈련을 한 권으로 녹여냈습니다!
좋은 목소리의 원리는 결국 하나입니다.
2년 이상 하루도 빠짐 없이 직접 제 몸에 실험하고 연구했습니다.
제가 가장 크게 효과를 봤던 핵심만 담았습니다.
여러분의 목소리에 정말 큰 변화가 있길 바랍니다!
복식호흡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면,
이제는 실제로 '좋은 발성'을 해야 합니다.
복식호흡으로 많은 공기를 깊게 마셨는데도
목이 닫혀 있는 상태로 발성을 한다면,
좋은 목소리가 나올 수 없겠죠.
물이 나오는 호스를 상상해봅시다.
이 물의 세기를 강하게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을 겁니다.
첫 번째는 호스의 출구 끝 쪽으로 손가락으로 강하게 누르는 것이죠.
이렇게 하면 입구 자체가 좁아지기 때문에 압력이 강해지겠죠.
두 번째는 밸브 자체를 물이 더 많이, 그리고 강하게 나오도록 돌려버리는 것이죠.
그럼 호스를 통과하기 전의 물의 양과 압력 자체가 강해지기 때문에
호스를 통해 나오는 물의 세기도 강해질 겁니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물의 세기 자체는 강해지더라도
물줄기가 굉장히 가늘어지고,
오래 잡고 있으면 손도 많이 아픕니다.
우리가 발성을 하는 과정도 이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는 보통 '큰 소리'를 내기 위해서
적은 양의 공기로 목을 조이며 발성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리의 크기 자체는 강해지더라도
소리가 굉장히 찢어지고 가늘어지며,
오래 발성을 하면 목이 빨리 쉬게 됩니다.
따라서,
더 크고 명랑한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두 번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애초에 복식호흡을 통해 마시는 공기의 양을 늘리고
뱃심을 이용해 공기의 펌프질을 더 강하게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공기의 양과 압력 자체를 높이더라도
공기가 나가는 출구 자체가 열려있지 않다면,
오히려 더 큰 마찰이 생길 겁니다.
따라서, 이 '공기가 나가는 출구'
즉, 목구멍과 입 안 공간을 크게 열어줘야
소리가 더 크고 시원하게 뻗어나갈 수 있겠죠.
그런데, 호스는 우리가 가만히만 놔둬도 열려있지만
우리의 목과 입은 우리가 의도적으로 열어주는 연습을 하지 않으면
닫혀 있는 상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목구멍과 입 공간을 열어주는 연습을 해야 하는 것이죠.
그런데, 사실 목구멍과 입 안 공간을 크게 열어줘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바로 '공명' 때문입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그리고 갖고 싶어하는 '울림 있는 동굴 목소리'가 바로 '공명'입니다.
우리는 이 '공명이 있는 목소리'를 들었을 때
'신뢰감 있다' 혹은 '목소리가 좋다' 라고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이 '공명'을 만드는 것이 우리의 목표가 되겠죠?
그럼 '공명'이 발생하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우리가 호흡을 통해 머금은 공기가 성대를 울리면서 성대가 진동하게 되는데,
이때 '음파', 즉 '소리'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이 '소리(음파)'가 목구멍과 입 공간 등을 통과하면서 '공명'을 하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발성에서의 공명'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호흡을 통해 성대를 울리면서 발생한 '진동'이 목구멍, 입 안, 코 안 등의 빈 곳의 공기를 진동시키면서
1) 음량을 크게 하고
2) 아름답고 부드러운 소리를 내게 하는 것"
해부학적으로 이 '공명 포인트'를 크게 세 개로 나눈다고 합니다.
인두강, 구강, 비강이죠.
쉽게 인두강은 목구멍, 구강은 입 안 공간, 비강은 코 안 공간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인두강은 구강과 비강으로 가는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두강 전체를 잘 열어줘야 구강과 비강을 제대로 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 주변의 힘을 빼고 목구멍을 열어줘야 합니다.
구강은 입 안 공간이라고 했죠?
좋은 울림을 내기 위해서는 이 입 안 공간인 구강을 확보해야 합니다.
발성을 할 때 알사탕 하나를 입 안에 넣고 있다고 생각하면 공간 확보를 하기 쉽습니다.
비강은 코 안의 빈 공간을 말합니다.
고음을 내며 노래를 할 때에는 이 '비강'이 중요하지만,
'말하기 발성'을 할 때에는 '비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인두강'과 '구강'만을 울려주면 되는 것이죠.
목구멍과 입 안 공간을 열어줘야 하는 이유,
그리고 '공명'에 대해서 설명을 했는데 글이 많이 길어졌네요.
구체적으로 인두강과 구강을 여는 방법들과 연습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ㅎㅎ
'스피치 & 프레젠테이션 > 보이스 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훈련] 목소리 힘 키우는 방법 (2) | 2020.04.07 |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훈련] 목소리 공명 연습 - 목구멍과 입 열기 (3) | 2020.04.06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훈련] 복식호흡 실전 연습, 복식호흡으로 말하기 (2) | 2020.04.04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훈련] 깊게 많이 마시는 호흡, 복식호흡! (0) | 2020.04.03 |
[아나운서 보이스 / 목소리 훈련] 좋은 목소리가 나오는 원리! (0) | 202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