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및 스피치 대본 포스팅합니다!
대본을 보고 느낌을 살려 리딩 연습을 해보세요!
저번에 이어 이번에도 KBS <저널리즘 토크쇼 J> MC 대본을 준비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저널리즘 토크쇼 J>는 1명의 MC(진행자)와 4~5명의 패널로 구성됩니다.
MC가 패널 소개 및 오프닝 멘트와 전체 브리핑을 간략하게 한 후, 각 패널들에게 질문을 하고 패널들이 답변을 하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너무 무겁지도 않은 프로그램이지만, 그래도 시사를 다루는 프로그램인만큼 차분한 톤으로 리딩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1회차는 너무 적을 것 같아서 2회차 분량 준비했으니까요.
분위기 느껴보면서 리딩해봅시다!
* 출처 : KBS <저널리즘 토크쇼 J> 88회 (2020. 05. 03) / 89회 (2020. 05. 10)
* 진행 : KBS 이상호 아나운서
<88회 (2020. 05. 03) 방송분>
안녕하세요 저널리즘 토크쇼 J입니다.
오늘 함께 하실 분들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비평 끝판왕 OOO 강남대 한영문화콘텐츠학과 교수입니다.
어서오세요.
네, 팟캐스트 황태자 OOO씨입니다.
어서오십시오.
네, 타협 없는 비평가죠. 임자운 변호사입니다.
어서오세요.
자, 저널리즘 전문가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홍성일 연구원도 오늘 함께 하십니다.
어서오세요.
예, 그리고 오늘 주제를 위해서 특별히 모셨습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님 나오셨습니다.
어서오십시오.
저널리즘 토크쇼 J에서 꾸준히 주목받고 있는 주제죠.
텔레그램 성착취 대화방 관련 소식 잠시 살펴보겠습니다.
MBC 현직 기자가 성 착취물이 공유된 박사방에 유료 회원으로 가입하려 했던 사실이 알려지면서 많은 분들이 충격에 빠졌는데, 이 소식은 어떻게 좀 보셨습니까?
(의견)
좀 진정성 있는 조사, 또 결과 기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언론사 내부의 후속 조치, 저널리즘 토크쇼 J에서 끝까지 감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방송은 KBS 1TV, myK, wavve, 유튜브, 그리고 페이스북으로 통해서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자, 미국 현지시간으로 4월 20일이죠.
CNN이 김정은 위중설을 보도했습니다.
그 직후에 국내 지상파 3사, 종편 4사의 저녁 메인뉴스 그리고 5대 일간지 모두 관련 소식을 실었습니다.
언론사마다 이 사안을 다루는 무게와 방향, 어떤 차이가 좀 있었나요?
(의견)
OOO 실장님께서 말씀하신 '객관적 거리두기'가 얼마나 지켜지고 있는지, 그 관련 기사를 가장 많이 작성한 중앙일보, 조선일보의 보도 흐름을 저희가 좀 분석을 해봤습니다.
(분석 내용)
그 김장은 위원장의 건강 상태에 대한 보도 내용이 하루에도 사실 몇 번씩 달라지고 있거든요.
OOO씨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89회 (2020. 05. 10) 방송분>
오늘 함께 하실 분들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비평 끝판왕 OOO 강남대 한영문화콘텐츠학과 교수입니다.
어서오세요.
네, 팟캐스트 황태자 OOO씨입니다.
어서오십시오.
네, 타협 없는 비평가죠. OOO 변호사입니다.
어서오세요.
자, 그리고 검찰개혁, 언론개혁의 최강 스피커시죠.
최강욱 열린민주당 당선인 오랜만에 나오셨습니다.
어서오세요.
조금 늦었지만 당선 축하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역시 언론개혁 문제로 오랜 시간 고민하고 연구해 온 분이시죠.
최영묵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님도 모셨습니다.
어서오세요.
저널리즘 토크쇼 89회 방송에서는 최근 불거진 채널A 압수수색 논란을 시작으로, 그동안 우리 언론이 쌓아온 불신의 탑을 하나 하나 좀 해체해가면서 과연 어디서부터 어떻게 변화를 이끌어내야 할 지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방송은 KBS 1TV, myK, wavve, 유튜브, 그리고 페이스북으로 통해서도 만나실 수 있습니다.
채널A 기자의 협박취재와 검언유착 의혹, 이 문제와 관련해서 검찰이 압수 수색을 시도했고 결국 채널A 측이 일부 자료를 이미 제출하는 선에서 마무리가 됐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채널A 기자들은 물론 기자협회, 또 일부 언론들을 중심으로 '언론의 자유 침해'라는 주장이 제기가 됐습니다.
이 주장에 동의들 하십니까?
(의견)
관련 보도들을 조금 살펴보겠습니다.
상당수 언론들이 압수수색, 기자들의 저항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런 가운데 조선, 중앙 등 일부 언론들이 MBC 압수 수색 영장이 기각됐다면서 형평성 문제를 거론했거든요.
특히 4월 30일자 조선일보 사설 <MBC는 빼고 채널A만 압수 수색, 법 집행인가 정치인가> 에서는 "이번 수사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학 후배인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이 주도하고 있다고 한다. 최강욱씨 기소에 반대했던 사람이다. MBC 제보자와 최강욱씨는 아예 압수 수색 대상에 포함되지도 않았다. 오죽하면 검찰총장이 "모든 이슈에 대해서 빠짐없이 균형있게 조사하라"고 했겠나, 사실이라면 불법 혐의를 은폐한 것이다. 누가 이런 지시를 내렸는지 밝혀져야 한다." 라고 썼습니다.
검찰이 채널A를 압수수색한 본질과는 어떤 관련이 있다고 보십니까?
'스피치 & 프레젠테이션 > 방송 및 스피치 대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송 대본] 라디오 뉴스 대본 (2020. 05. 15 (금) MBC 라디오뉴스) (0) | 2020.05.15 |
---|---|
[방송 대본] (MBC) 출발! 비디오 여행 MC 대본 (1329회 / 1330회 / 1331회) (0) | 2020.05.14 |
[방송 대본] (한국직업방송) 투데이JOBS MC 대본 (0) | 2020.05.12 |
[방송 대본] (EBS) <장학퀴즈-학교에 가다> MC 대본 (0) | 2020.05.11 |
[방송 대본] (한국경제TV) <글로벌 이슈 투데이> 앵커멘트, 시황캐스터 대본 (2020. 05. 08) (0) | 2020.05.10 |